정신증, 신경증, 소아, 노인 등 정신건강의학 분야 다양한 환자 만날 유일한 기회
실습 참가 학생들 10명 중 6명 이상 5점 만점에 5점 “매우 만족”
의학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정신건강의학교실 실습은 그동안 이론 수업에서 습득한 지식을 임상에 적용하도록 진행하는 과정이다.
이와 관련해 병동 및 외래 참관,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처방 실습, 임상심리검사 실습, 증례토의 등 다양한 내용들로 진행된다.
◆정신건강의학교실 실습 중요한 이유
정신건강의학교실 실습은 정신증, 신경증, 소아, 노인 등 정신건강의학 분야의 다양한 환자를 병동과 외래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신건강의학과는 나중에 전공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실습 기간을 제외하고는 환자를 직접 만날 기회도 없고,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환자를 어떻게 평가하고 어떻게 치료하는지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없다.
따라서 실습과정을 통해서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해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면, 나중에 의사가 되었을 때 정신건강의학과 평가 및 의뢰가 필요한 경우를 빠르게 파악하고 환자에게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신건강의학교실 실습 대표적 장점
정신건강의학교실 실습 중에는 정신건강의학과 안정병동 안에 직접 들어가서 환자들을 만날 기회가 주어진다.
병동 환자들이 학생들을 환영하고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도 많아서 학생들도 좋아하는 것 같다. 뿐만 아니라 정신증, 신경증, 소아, 노인 각 파트에서 최소 한명 이상 신환을 예진하는 과정을 참관하고 학생이 최소 한명 이상 직접 예진을 하도록 하여 환자를 충분한 시간 동안 깊이 있게 면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도 정신건강의학교실 실습의 장점이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이런 모든 과정을 통해서 교과서에만 보던 다양한 정신병리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학생들 평가 결과
실제 이번 실습에 참여했던 학생들 중 설문에 응답한 36명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도 평가
△의학지식의 활용 (중증도 평가, 치료방향제시, 응급 및 수술 필요 여부에 대한 통합적 판단)과 관련해서는 평균 4.5점 (5점 만점)을 기록하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3% (19명)는 5점, 47% (17명)는 4점으로 조사되었다.
△진료능력 (면담 및 진찰 수행,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 기본 술기 수행)은 평균 4.6점으로 53% (23명)는 5점, 47% (12명)는 4점, 3% (1명)는 3점으로 나타났다.
△소통능력 (일반인 및 의료인과 소통)의 경우 67% (24명)가 5점, 25% (9명)는 4점, 8% (3명)는 3점으로 평균 4.6점을 기록하였다.
△의료환경 경험 (진료환경의 분위기, 이슈, 의료인의 역할 등 경험)은 평균 4.6점으로 67% (24명)가 5점, 31% (11명)는 4점, 3% (1명)는 3점으로 조사됐다.
△전문직업성 (윤리성, 책임감과 성실성, 환자의 안전과 정보보호, 의료인 및 환자와의 원만한 대인관계)의 경우 56% (20명)가 5점, 39% (14명)는 4점, 6% (2명)는 3점으로 평균 4.5점을 기록하였다.
▲만족도 평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실습이었다’라는 설문에 평균 4.6점으로 61% (22명)가 5점, 39% (14명)는 4점으로 나타났다.
△‘발표 및 토론교육은 도움이 되었다’라는 질문에 64% (23명)가 5점, 33% (12명)는 4점, 3% (1명)은 3점이며, 평균 4.6점을 기록하였다.
△‘실습은 계획대로 진행되었다’라는 질문에 64% (23명)가 5점, 36% (13명) 4점으로 평균 4.6점을 기록하였다.
◆향후 개선 방향
반면 가끔 신환이 취소되거나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가 없거나 해서 모든 분야의 환자를 경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정석훈 주임교수는 “이런 경우에는 해당 분야의 병동환자와 면담하게 하거나, 교수님들의 면담/회진을 참관하거나 하여 다양한 분야를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학생들이 환자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만들어 가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실습과정을 통해 환자의 개인력과 가족력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라고 강조했다.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02-3010-4207, 4208, 4209
Homepage https://eletter.ulsan.ac.kr/main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