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의과대학 소식지로고
소식지 PDF 다운로드
63호
학생코너
[미니인터뷰] 카이스트 의과학 대학원,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호경
2025-01-12

Q. 전문의로서 의과학 대학원 진학을 결정한 계기

카이스트 생명과학 학부를 졸업하고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되었다. 


카이스트 재학 당시에 카이스트에 MD-PhD 코스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막연하게 전문의를 취득하고 여기서 연구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왔었다. 


전공의 수련 중 마침 이비인후과 전문의 선생님 한 분이 뇌척수액 배출과 관련하여 연구하신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에 다시 한번 자극을 받아 카이스트 의과학 대학원으로 진학하게 되었다.

Q. 의사 출신 연구원만의 특징

우리 연구실에는 다양한 전공 출신 대학원생들이 있지만, 큰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다들 연구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대학원에 입학한 신입생들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각자 전공이 다른 만큼 연구하는 과정에서 본인들만의 장점을 내세울 수 있는 것 같다. 


의학 전공을 한 사람은 해부학이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조금 더 실용적인 아이디어들을 낼 수 있겠다. 반대로 다른 동료들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실험적인 방법을 더 잘 알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공을 가진 연구원들이 협업하면서 서로의 장점을 살리고 있다. 


Q. 의대생들에게 해 줄 조언

앞서 말하였듯, 대학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어떤 전공이든 연구와 실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꼭 의학 전공 출신만 그런 것이 아니다. 낯설고 어려운 것을 익숙하게 하고자 대학원에 입학하는 것이니, 그런 고민은 많이 하지 않아도 좋다. 


본인이 모르는 분야는 주변의 다양한 전공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협업하면 된다.


Q. 연구를 진로로 고려하고 있는 의대생들에게 해줄 현실적인 조언

의사 면허 취득 후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진로는 정말 다양하다. 지역사회 의료에 헌신하는 것이 적성에 맞는 사람도 있고, 대학병원 시스템이 맞는 사람도 있다. 


그중 일부는 의학 연구가 적성에 맞을 것이다. 하지만 의과대학 졸업 후 병원에서 임상 수련까지 대략 10년의 과정을 연달아 수행하므로, 전일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경험을 갖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의학 연구를 진로로 고려하고 있는 의대생분들이라면 카이스트 의과학 대학원과 같이 전일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곳을 경험해 보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다. 


카이스트 의과학 대학원뿐 아니라, 최근에는 많은 의과대학에서 자체 MD-PhD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선택지가 많아진 만큼, 신중히 고민하여 진로를 선택하면 좋겠다.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02-3010-4207, 4208, 4209

Homepage https://eletter.ulsan.ac.kr/main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협력병원 02-3010-4207, 4208, 4209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copyright © 2023 univerity of ulsa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