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환자의 돌봄에 대해, 그리고 이를 담당하는 의사로서 역량과 사명감
중환자 의사로서의 필수 역량은 혈역학과 폐역학에 대한 이해, 인공호흡기 치료 등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다. 하지만 이는 학습과 수련을 통해 습득 가능하므로, 의지와 태도가 더 중요하다.
중환자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자주, 깊이 있게 관찰하고 치료해야 하는 직업이다.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삼으며, 특히 연구나 개인적인 삶보다 환자를 우선시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이러한 태도가 뒷받침될 때 필요한 역량은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된다.
Q. 중환자실 의사를 희망하는 의대생의 적성과 역량
의대생 때 생리학, 특히 심장생리와 호흡생리 등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환자실은 대학교 때 배운 생리학적 지식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이다.
Q. 실습 학년 학생들이 중환자실 실습에서 무엇을 얻으면 좋을지?
현 커리큘럼에서 무언가를 배워 가기에는 중환자실 실습 기간이 너무 짧다. 하지만 중환자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가 치료를 통해 회복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중환자실이 무겁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대다수의 환자가 치료를 통해 회복한다는 점을 꼭 알았으면 좋겠다.
별개로 환자나 보호자와 대화를 많이 해보며, 사람에 대한 관심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대화의 흐름을 어떻게 이끌고 끊어야 할지, 상대방이 듣고 싶어하는 이야기와 듣기 싫어하는 이야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Q. 타과의 중환자실과 비교해 내과 중환자실만의 특징
내과 중환자실은 폐질환 환자가 많고, 혈압과 산소 포화도가 저하된 환자가 주로 입원한다. 특히 폐와 관련된 질환으로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회복에 시간이 걸리는 환자가 많아 장기입원 환자가 흔하다.
한국의 내과 중환자실은 호흡기내과에서 주로 운영하며, 환자의 다양한 상태를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Q. 환자 가족 분께 나쁜 소식을 전할 때 접근하시는 방법
환자와 보호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논리적이고 차분하게 설명하며, 또한 상대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반복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환자와 보호자가 납득할 수 있는 죽음을 준비하도록 돕는 것도 중환자 의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연민과 공감을 가지고 설명하며, 듣는 사람의 감정을 고려해야 한다.
Q. 중환자실 의사로서 근무 중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 그리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환자가 악화되거나 사망하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또한, 24시간 당직 근무도 어려운 점 중 하나다. 스트레스 관리가 쉽지 않지만, 이를 받아들이고 내적으로 소화하는 방식을 통해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Q.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 상태로 인한 중환자실 환경의 변화와 극복 방법
중환자실 의사 인력 부족 문제는 의정갈등과 상관 없이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고, 이는 우리나라에 국한된 일도 아니다.
현재는 전문 간호사와 PA (Physician Assistant)가 유사한 역할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다.
이는 외국에서는 이미 제도권 내에 있던 것이다. 하지만 의사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분명히 있기에 당직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중환자 전문의 수의 증가다.
Q. 의사로서 중환자를 돌보는 것에 대해 의대생들이 알았으면 하는 점과 앞으로의 전망
중환자의학은 반복된 호흡기 감염병 등의 영향으로 점차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접적인 처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낮다.
중환자의학은 학문적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앞으로도 전망이 밝다.
힘든 일을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한다면 중환자 의사로서의 길을 충분히 걸어갈 수 있다.
Q. 학생 및 학부모님들께 전하는 메시지
우리 의대는 여러 도전을 겪으며 발전해 왔고,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린다.
(사진 : 안지환 교수와 학생기자단)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협력병원 02-3010-4207, 4208, 4209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Homepage https://eletter.ulsan.ac.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