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투과성 하드렌즈와 공막렌즈, 정밀 시력교정과 각막보호 효과 동시 제공
전문의 상담 통한 맞춤 처방 필수, 적응기간 거쳐 기존 불가능했던 시력 회복
시력을 교정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안경이나 소프트 콘택트렌즈다.
하지만 각막의 형태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었거나 난시가 심한 경우, 혹은 기존의 교정 방법으로는 만족할 만한 시력을 얻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밀한 교정이 가능한 특수 렌즈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예가 산소투과성 하드렌즈와 공막렌즈다. 이 렌즈들은 일반적인 소프트렌즈와는 구조와 목적이 다르며, 특정한 눈 상태나 질환에 맞춰 사용된다.
◆RGP 렌즈…불규칙한 각막 표면 평평하게 보정
산소투과성 하드렌즈는 흔히 RGP 렌즈라고 불리며, Rigid Gas Permeable의 약자다.
이름 그대로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졌지만 산소가 각막에 도달할 수 있도록 투과성이 높은 소재로 제작된다.
이 렌즈는 각막보다 작은 크기로, 눈물층 위에 살짝 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 RGP 렌즈 고려되는 경우
눈에 직접 밀착되는 소프트렌즈와는 달리 눈물층이 렌즈와 각막 사이를 메우는 구조 덕분에, 특히 불규칙한 각막 표면을 가지는 사람에게 매우 유리하다.
대표적으로 원추각막이나 각막이형성증, 고도난시, 라식 수술 후 시력 질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 혹은 각막이식을 받은 후 남은 굴절이상을 교정할 때 RGP 렌즈가 고려된다.
특히 RGP 렌즈는 렌즈 자체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각막의 울퉁불퉁한 표면을 평평하게 보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흐릿하거나 왜곡된 영상이 선명하게 교정되는 것이다.
▲ 토릭 RGP 렌즈
이 중에서도 난시가 심하거나 각막난시 외에 수정체 난시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토릭 RGP 렌즈가 필요하다.
토릭 렌즈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곡률이 다른 형태로 설계되어 있어, 난시 축을 정교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일반 RGP 렌즈는 눈 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라 렌즈가 돌아가면 교정 축이 어긋나 시력이 흐려지지만, 토릭 RGP 렌즈는 눈 위에서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고도난시에서도 일관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난시가 심하고 소프트 토릭렌즈로 시력 교정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렌즈가 좋은 대안이 된다.
▲ RGP 렌즈 단점 및 주의점
RGP 렌즈는 단단한 재질이기 때문에 처음 착용 시 이물감이 꽤 크다. 착용 초기에 눈이 따갑거나 뻑뻑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적응에는 수일에서 몇 주까지 걸릴 수 있다.
또한 렌즈 크기가 작고 각막 위에 떠 있기 때문에 눈을 깜빡이거나 활동 중에 렌즈가 빠질 위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활동량이 많은 사람에게는 불편할 수 있으며, 매일 세척과 보존을 철저히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 RGP 렌즈 장점
그러나 일단 적응하고 관리법에 익숙해지면 렌즈의 착용감은 개선되며, 소프트렌즈로는 얻을 수 없는 선명한 시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착용 시에는 렌즈를 검지 위에 올린 뒤 눈의 중심부에 조심스럽게 넣고, 제거할 때는 손가락이나 렌즈 흡착기를 이용해 눈가 바깥쪽에서 조심스럽게 떼어낸다.
◆공막렌즈
공막렌즈는 하드렌즈의 일종으로, 일반 RGP 렌즈보다 크고 구조가 상당히 다르다.
▲ 시력교정 + 각막 보호 효과도
보통 지름 14mm 내외의 크기로, 각막을 완전히 덮고 눈의 흰자 부분인 공막에 닿아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 렌즈는 착용할 때 렌즈 안쪽에 인공눈물을 가득 채운 뒤, 눈에 수직으로 조심스럽게 넣는다.
렌즈와 각막 사이에 형성된 눈물층은 각막을 촉촉하게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단순한 시력교정뿐 아니라 각막 보호 효과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 공막렌즈 사용 대상
이런 구조 때문에 공막렌즈는 중등도 이상의 원추각막, 심한 안구건조증, 각막 손상이나 수술 후 시력 회복, 자가면역 질환 등으로 각막이 손상된 경우에 치료 목적이나 시력보조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각막 상피가 지속적으로 손상되거나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보호용 렌즈로도 쓰이며, 각막이식 후 잔여 불편감이나 시력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도 유용하다.
▲ 공막렌즈 장점 및 주의점
공막렌즈는 크기가 크고 눈에 넓게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매우 안정적이고 이물감이 거의 없다.
또한 렌즈가 쉽게 돌아가거나 빠질 염려가 없어, 장시간 착용하거나 활동이 많은 경우에도 유리하다.
하지만 렌즈가 크고 눈과의 접촉면이 넓기 때문에 제작이 까다롭고 착용법이 복잡하다.
렌즈 삽입 시 기포가 들어가면 시야가 흐려지므로 착용 전에 인공눈물을 충분히 채운 상태에서 수직으로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제거 시에는 반드시 흡착기를 사용하여 각막을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 하며, 세척 및 보존 과정도 철저해야 한다.
가격이 비교적 높고, 맞춤 제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안과 전문의의 세심한 처방과 피팅 과정이 필수다.
◆'RGP 렌즈 + 공막렌즈' 정밀한 시력교정 효과적
결론적으로 RGP 렌즈와 공막렌즈는 정밀한 시력교정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콘택트렌즈로 만족스러운 시력을 얻지 못했거나 각막에 구조적 문제가 있는 경우, 혹은 눈의 건조와 손상으로 인해 고통을 겪는 사람이라면 이 특수렌즈들을 고려해볼 수 있다.
착용과 관리가 쉽지만은 않지만, 제대로 사용하면 기존 교정법으로는 얻기 어려운 선명한 시야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렌즈는 정밀한 진단과 전문적인 피팅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험 많은 안과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눈에 맞는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협력병원 02-3010-4207, 4208, 4209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Homepage https://eletter.ulsan.ac.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