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 : #0
Frame : #1
H : -
newsImage
울산의대 학장 임영석

우리 의대의 가장 큰 힘은 훌륭한 조직문화 사랑하고 존경하는 울산의대 가족 여러분!우리 울산의대의 교육체계는 협력병원인 서울아산병원 및 강릉아산병원, 그리고 부속병원인 울산대학교병원을 근간으로 지난 37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그 결과, 서울아산병원은 미국 뉴스위크의 평가에서 국내 1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22위 Best Hospital로 자리매김했고, 5개의 주요 세부 전공분야는 전 세계 10위 이내에 랭크될 정도로 발전하여 전 국민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또한, 울산대학교병원과 강릉아산병원은 서울아산병원과의 다방면에 걸친 지속적 연계에 힘입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비수도권에서 최고 수준의 상급종합병원으로 성장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이렇게 구축된 중앙-지역 연계, 부속병원-협력병원 체계는 가장 성공적이고 모범적인 의학교육 및 진료 모델로서 평가되고 있습니다.우리 의대가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국내 최고 명문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최고의 인재 육성 정책과 더불어 상호 신뢰 및 존중 정신에 기반한 훌륭한 조직문화입니다.하지만, 정부에 의해 2025년에 수동적으로 주어진 대규모 입학생 증원은 이렇게 훌륭하게 구축된 의학교육 시스템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데 큰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의대는 본교의 적극적 지원 및 부속병원, 협력병원이 축적한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최고의 의학교육 질을 유지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특히, 학생들이 상급 학년으로 진급하면서 받아야 할 임상실습수업 커리큘럼은 서울-지역 연계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내외부적인 거센 도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자랑스럽게 구축한 내부적 결속력과 상호 신뢰 및 존중의 훌륭한 조직문화는 우리 의대를 최고 명문 의학교육기관으로 더욱 굳건히 자리매김하게 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Frame : #8
Frame : #13
Frame : #18
Frame : #27
Frame : #30
Frame : #31
H : -
newsImage
발의 모양과 족부 질환 측면에서 바라본 ‘건강 달리기’

달리기에 대한 열기가 뜨거운 최근, 달리기에 문외한인 정형외과 의사가 주법 (포어풋, 미드풋, 리어풋)이나 달리기에 대한 정답을 제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이에 전공 분야인 족부 정형외과와 연관된 발의 모양과 족부 질환의 측면에서 건강한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전신 운동의 하나인 달리기는 심폐기능 활성화, 전신 근육의 사용, 최소한의 장비로 언제든 혼자서도 할 수 있는 건강을 유지하는 좋은 운동 방법 중 하나이다.그러나, 모든 운동이 과도하면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달리기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전신 건강이나 관절에 문제가 있는 경우 과도한 달리기 (타인이나 자신과의 기록 경쟁 등)는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다.운동을 할 때 장비가 빠질 수 없는 요소인데, 달리기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가 신발이다.최근 많이 언급되고 있는 카본화가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며 몸에 맞는 신발은 각자 다를 수 밖에 없다.발의 모양, 발의 질환, 관절의 유연함 정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신발의 선택이 발의 증상을 막아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에 맞게 통증이 없는 정도로 달리기를 건강하게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달리기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족부에 체중 부하가 적은 자전거, 수영, 근력 운동 등으로 전환을 하고 증상이 호전된 후 달리기를 다시 시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된다.

Frame : #32
Frame : #34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식지 편집위원회

발행인 : 임영석

편집위원회 위원장 : 이충욱 

편집위원회 위원 

: 김재용, 김화정, 박상형, 배주열, 신항식, 이은재, 전영지, 정새롬, 조경욱, 조윤경, 최영락 

학생편집위원 

: 강범규, 김강현, 김상영, 서다경, 이은수, 이재환, 전해성, 정수호, 정희정, 황지원

객원기자겸 홍보자문위원  : 김영신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협력병원 02-3010-4207, 4208, 4209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copyright © 2023 univerity of ulsa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