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의과대학 소식지로고
소식지 PDF 다운로드
64호
의대소식
[미니인터뷰] 예방의학교실 이상일 (서울아산병원) 교수
2025-03-31

Q. 정년을 맞이하신 소감

큰 잘못 없이 건강하게 보람있는 교수 생활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교와 병원의 선후배 동료 및 관계자 여러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Q. 가장 기억에 남는 일과 아쉬웠던 일

◆기억에 남는 일

▲학교: 학교 보직자로서 아산교육연구관 신축에 기여하였던 일과 대학 입시에서 학교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재학생들과 함께 노력하였던 일.

▲병원 : 우리나라 최초로 설치된 병원의 의료 질 향상 전담 부서에서 PI실 자문담당 교수로서 직원들과 함께 병원 발전을 위하여 노력해온 일.

◆아쉬웠던 일

학교와 병원이 교육 장소 지방 이전과 의정갈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에 정년을 맞게 되어 매우 안타깝습니다.


Q.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이 세계적인 의과대학이 되기 위해 더 필요한 부분

임상의학 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의학 분야 육성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후학들이 최고의 의사 및 최고의 연구자가 되기 위해 준비하고 배워야 할 부분

◆의사

▲환자 중심의 진료: 환자의 말을 경청하고 공감하며, 환자의 입장에서 최선의 진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키우시기 바랍니다.

▲협력하는 자세: 의사는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 없습니다. 동료 의사, 간호사, 기타 의료진과 협력하여 최상의 팀워크를 발휘할 수 있도록 leadership과 followership을 기르시면 좋겠습니다.

▲끊임없는 배움: 의학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분야입니다. 최신의 근거에 기반을 둔 진료 제공에 필요한 지속적인 학습을 하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연구자

▲탐구하는 자세: 의학 연구는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는 과정이므로, 호기심을 가지고 끊임없이 질문하는 자세를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창의적인 사고: 기존의 연구 결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능력을 배양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분석 능력: 연구 결과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논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통계 분석 및 결과 해석 능력을 갖추시기 바랍니다.


Q. 후학들이 꼭 더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부분

사회적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학교와 병원 조직이 커지면서, 동료들에 대하여 무관심해지기 쉬운 것 같습니다.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의 소통과 배려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학교와 병원이 더욱 훈훈한 일 터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협력병원 02-3010-4207, 4208, 4209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0550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울산대학교 협력병원 02-3010-4207, 4208, 4209

홈페이지 문의 : wj0216@ulsan.ac.kr, 동문회 문의 : esmoon@ulsan.ac.kr

copyright © 2023 univerity of ulsan all right reserved.